본문 바로가기
기사

[1224 지면반영]청소년의 정치를 허하라

by 뵤지성 2021. 12. 20.

- 청소년 정치 토크


2019년 공직선거법 개정 이후, 청소년참정권은 급물살을 타고 내려와, 청소년들의 정치적 권리가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이에 3.9 대선 정국에서 각 당은 청소년 선거대책위원장을 임명했다. 이에 지역의 청소년 정치의 현안과 의제를 논의할 대화를 기획하게 되었다. 이름하여 청소년 정치 토크, 지금 바로 시작한다!!
11월 15일 둠벙에서 옥천군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옥천교육 의제 모임에서 만나게 된 더불어민주당 지역 정치인인 이병우 민주당 충북도당 지역경제발전 특별위원장을 모시고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청소년의 정치참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975년에 18세 선거권을 가진 스웨덴에 비해 우리나라는 40년이나 늦은 투표권을 가지게 되었다, 청소년들의 의식이 매우 향상된 지금에서야 투표권이 하향된 건 늦은 감이 없지 않다”고 밝혔다. 또 ”지난 총선 최초로 청소년이 투표함으로서 민주주의 발전에 전환을 이루었고,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고 말하며 청소년 정치 참여 활성화를 주장하며 몇 가지 제안을 했다. “ 선거기간에 청소년에게 다가갈 방법이 제한적이라며 교내 후보 설명회와 선거 교육으로 투표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Q2. 교육감 투표권 16세 하향에 대한 위원장님의 생각은 무엇이신가요?
다만 선거권이 하향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지금 교육감 투표권의 하향은 시기상조라며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청소년의 정치 매몰성을 우려했다.


Q3. 청소년 피선거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에 이병우 위원장은 청소년이 직접 출마해 세상을 바꾸는 시도는 담대한 첫걸음이라며 위와 같은 피선거권 하향으로 정치적 변혁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Q4. 지역 청소년의 정당 활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청소년의 정당 활동에 대해서는 “기성세대의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새로운 정치를 만들 수 있는 계기라며 현재의 삼류 정치를 일류 정치로 바꿀 수 있다” 고 말했다.

Q5. 청소년의 선거캠프 참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는 청소년, 젊은 세대의 선거운동 참여, 캠프 활동에 대해 아래로부터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말하며 청소년의 정치참여가 불러올 정치의 새바람을 기대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나는 지역 청소년 정치 활성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느꼈다. 이러한 정치인들의 의견과 청소년들의 조직된 힘이 세상을 바꿀 청소년참정권을 세울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좋은 인터뷰 시간이었다.

 

이병우 민주당 충북도당 지역경제발전 특별위원장

김성훈(옥천고1)

댓글